방화구획 설치 기준, 설치 대상, 완화대상
방화구획 설치 기준, 설치 대상
방화구획 설치대상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천 제곱미터를 넘는 것 (원자로 및 관계시설은 원자력안전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
|
면적별 구획 |
10층 이하의 층 | 바닥면적 1천제곱미터(3천제곱미터)이내 마다 구획 |
11층 이상의 층 | 바닥면적 200제곱미터(600제곱미터)이내 마다 구획 | |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 바닥면적 500제곱미터(1천500제곱미터)이내 마다 구획 |
||
( )안의 면적은 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를 말함. | ||
층별 구획 |
매층마다 구획할 것.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직접 연결하는 경사로 부위는 제외 |
|
용도별 구획 |
필로티나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구조(벽면적의 2분의 1 이상이 그 층의 바닥면에서 위층 바닥 아래면까지 공간으로 된 것만 해당)의 부분을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부분은 건축물의 다른부분과 구획 |
*방화구획: 내화구조로 된 바닥 및 벽+[60분+ 방화문 또는 60분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
방화구획 완화 대상
1. 문화 및 집회시설(동ㆍ식물원은 제외한다), 종교시설, 운동시설 또는 장례시설의 용도로 쓰는 거실로서 시선 및 활동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2. 물품의 제조ㆍ가공 및 운반 등(보관은 제외한다)에 필요한 고정식 대형 기기(器機) 또는 설비의 설치를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다만, 지하층인 경우에는 지하층의 외벽 한쪽 면(지하층의 바닥면에서 지상층 바닥 아래면까지의 외벽 면적 중 4분의 1 이상이 되는 면을 말한다) 전체가 건물 밖으로 개방되어 보행과 자동차의 진입ㆍ출입이 가능한 경우로 한정한다.
3. 계단실ㆍ복도 또는 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로서 그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구획된 부분. 다만, 해당 부분에 위치하는 설비배관 등이 바닥을 관통하는 부분은 제외한다.
4. 건축물의 최상층 또는 피난층으로서 대규모 회의장ㆍ강당ㆍ스카이라운지ㆍ로비 또는 피난안전구역 등의 용도로 쓰는 부분으로서 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5. 복층형 공동주택의 세대별 층간 바닥 부분
6.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주차장
7. 단독주택,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또는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군사시설(집회, 체육, 창고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만 해당한다)로 쓰는 건축물
8. 건축물의 1층과 2층의 일부를 동일한 용도로 사용하며 그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구획된 부분(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 이하인 경우로 한정한다)
보일러실 설치기준 (방화문, 방화구획, 창문 등)
보일러실 설치기준 (방화문, 방화구획, 창문 등) 개별난방방식 중앙집중공급방식 오피스텔 공동주택 오피스텔 공동주택 보일러실 구조 [보일러실-거실] 사이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 [보일러실-
balssi.tistory.com
건축법 시행령 제46조(방화구획 등의 설치)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방화구획의 설치기준)
'소방감리업무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시설 비상전원 설치대상 및 종류, 유효작동시간(30층 미만) (0) | 2023.01.12 |
---|---|
알람밸브실 내 CPVC(소방용 합성수지배관) 시공 가능한 경우 (0) | 2023.01.09 |
배연창(배연설비) 설치기준, 설치대상 (0) | 2023.01.03 |
형식승인 소방용품 수량 산출표 양식변경본(22.12.01.신양식) (0) | 2022.12.30 |
간이스프링클러 설치기준(기준개수, 유량, 수원 등) (0) | 2022.12.30 |